카테고리 없음

존칭 사용법

金浩 2014. 7. 27. 09:43
● 존함 뒤에 붙이는 글 -

1) 귀하(貴下) ; 일반적으로 쓰는존칭, 남여 불문 사용
2) 귀중(貴中) ; 단체에 보낼 경우.
3) 님 ; 남의 이름이나 호칭 다른명사 뒤애붙여 높이말
4) 님께 ; 순 한글식으로 쓸경우
5) 전 .낭견(展. 郎見) ; 손아래 사람에게

 

6) 대형. 인형(大兄.仁衡) ; 친하고 정다운 사이에
7) 선생(先生) ; 은사 혹은 사회 인사에게
8) 여사(女史) ; 일반 부인에게
9) 좌하(座下) ; 공경해야할 어른게(조부모 선배 선생)
10) 화백 .아형(畵伯.雅兄) ; 가나 문학상의 친구에게

 

11) 친전 .친피(親展.親披) ; 타인에게 보이지 않도록 할때
12) 직피(直披) ; 손아래 사람의 경우 남에게보이지않게 할때
13) 지급 .대지급(至急. 大至急) ; 지급을 요할때
14) 원고재중(原稿在中) ; 원고가 안에 들어있을때
15) 씨(氏) ; 남의 이름아래에써서 존경의 뜻을 나타내는 말

 

16) 방(方) ; 상대방이 전세나 하숙을하고있을때 집주인 성명 밑에
17) 함. 봉(緘.封) ; 편지봉투에 겉봉을 봉함 봉함에로 표기하지말고
     함(緘)이나 봉(封)을 사용한다
18) 배상(拜上) ; 절하고 올림. 삼가 올림. 존경하는 분이나 웃사람에게
19) 존좌하(尊座下) ; 선생님이나 존경하는 사람에게
20) 혜감(惠鑑) ; 학문에 조예가 있는 사람에게

 

21) 즉전(卽展) ; 윗사람이 손아래 사람에게
22) 좌전(座前) ; 편지 받는 사람의 이름아래 고대하여쓰는말
23) 혜존(惠存) ; 자기 저서나 작품을 남에게 드릴때 받는 사람이름에 붙이는 존칭어
24) 존전(尊前) ; 존경하는 사람에게
25) 박사(博士)님 ; 근세에는 박사님밑에 딴존을 쓰지않고 있으나 박사님 좌전이라

     고 해도 무방함

 

26) 영감(令監) ; 지채있는 사람이나 나이많은 사람을 대접해서 일컫는말.
27) 근상(謹上) ; 삼가올림
28) 근배(謹拜) ; 삼가올림
29) 복백(伏白) ; 엎드려 삼가올림
30) 근백(謹白) ; 삼가아룀

 

31) 근정(謹呈) ; 삼가 증정함
32) 배납(拜納) ; 삼가바침
33) 배정(拜呈) ; 공손히 받드러올림
34) 봉정(奉呈) ; 받들어드림
35) 봉납(奉納) ; 삼가바침

 

36) 배사(拜謝) ; 삼가 감사를드림
37) 불비(不備) ; 제대로 갖추지 못함
38) 재배(再拜) ; 손윗사람에게 삼가올림
39) 곡배(哭拜) ; 조문시 부의(賦儀)할때 자기이름 밑에씀 
  
● 연령별 예법 -
 
 (1) 핵제(核提) ; 2-3세 어린이
 (2) 지학(志學) ; 15세
 (3) 약관(弱冠) ; 20세
 (4) 이립(而立) ; 30세
 (5) 가관(加冠) ; 30세

 

 (6) 불감(不感) ; 40세
 (7) 지명(知命) ; 50세
 (8) 이순(耳順) ; 60세
 (9) 동갑(同甲) ; 60세
(10) 환갑(還甲) ; 61세

 

(11) 진갑(進甲) ; 62세
(12) 미수(美壽) ; 66세
(13) 고희(古稀) ; 70세
(14) 희수(稀壽) ; 70세
(15) 망팔(望八) ; 71세

 

(16) 희수(喜壽) ; 77세
(17) 팔순(八旬) ; 80세
(18) 망구(望九) ; 81세
(19) 미수(米壽) ; 88세
(20) 졸수(卒壽) ; 90세

 

(21) 구순(九旬) ; 90세
(22) 망백(望百) ; 91세
(23) 백수(白壽) ; 99세
(24) 학수(鶴壽) ; 100세

 

● 알아두면 유용한 나이별 호칭

 

1세(生)
농장(弄璋) : 득남(得男), 아들을 낳으면 구슬{璋} 장남감을 주는데서 유래. 아들을 낳은 경사 - 농장지경(弄璋之慶)
농와(弄瓦) : 득녀(得女), 딸을 낳으면 실패{瓦} 장난감을 주는데서 유래. 딸을 낳은 경사 - 농와지경(弄瓦之慶)

2세-3세
제해(提孩) : 제(提)는 손으로 안음, 孩(해)는 어린아이, 유아가 처음 웃을 무렵(2-3세). *해아(孩兒)도 같은 의미로 사용.

15세
지학(志學) : 공자(孔子)가 15세에 학문(學問)에 뜻을 두었다는 데서 유래.
육척(六尺) : 주(周)나라의 척도에 1척(尺)은 두 살반{二歲半} 나이의 아이 키를 의미.- 6척은 15세.* cf) 삼척동자(三尺童子)

16세
과년(瓜年) : 과(瓜)자를 파자(破字)하면 '八八'이 되므로 여자 나이 16세를 나타내고 결혼 정년기를 의미함.
* 남자는 64세를 나타내면서 벼슬에서 물러날 때를 뜻함. - 파과(破瓜)

20세
약관(弱冠) : 20세를 전후한 남자. 원복(元服;어른 되는 성례 때 쓰던 관)식을 행한데서 유래.
방년(芳年) : 20세를 전후한 왕성한 나이의 여자. 꽃다운{芳} 나이{年}를 의미.

30세
이립(而立) : 공자(孔子)가 30세에 자립(自立)했다는 데서 유래.

40세
불혹(不惑) : 공자(孔子)가 40세에 모든 것에 미혹(迷惑)되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.
강사(强仕) : <예기 designtimesp=19502>에 "四十曰强 而仕 - 40세을 강(强)이라 하는데, 이에 벼슬길에 나아감{仕}"에서 유래. * 强(강) 마흔살

48세
상년(桑年) : 상(桑)의 속자(俗字)는 '十'자 세 개 밑에 나무 목(木)을 쓰는데, 이를 파자(破字)하면 '十'자 4개와 '八'자가 되기 때문.

50세
지명(知命) : 공자(孔子)가 50세에 천명(天命:인생의 의미)을 알았다는 데서 유래. "知天命"의 준말

60세
이순(耳順) : 공자(孔子)가 60세가 되어 어떤 내용에 대해서도 순화시켜 받아들였다는 데서 유래

61세
환갑(還甲),회갑(回甲),환력(還曆) : 태어난 해의 간지(干支)가 되돌아 간다는 의미. 곧 60년이 지나 다시 본래 자신의 출생년의 간지로 되돌아가는 것. 풍습에 축복(祝福)해 주는 잔치를 벌임
화갑(華甲) : 화(華)자를 파자(破字)하면 십(十)자 여섯 번과 일(一)자가 되어 61세라는 의미.

62세
진갑(進甲) : 우리나라에서 환갑 다음해의 생일날. 새로운 갑자(甲子)로 나아간다{進}는 의미

70세
종심(從心) : 공자(孔子)가 70세에 마음먹은 대로 행동해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. 從心所欲 不踰矩에서 준말.
고희(古稀) : 두보(杜甫)의 시 '곡강(曲江)'의 구절 "人生七十古來稀(사람이 태어나 70세가 되기는 예로부터 드물었다)"에서 유래.

71세
망팔(望八) : 팔십살을 바라 본다는 의미. 70세를 넘어 71세가 되면 이제 80세까지 바라는 데서 유래.

77세
희수(喜壽) : 희(喜)자를 초서(草書)로 쓸 때 "七十七"처럼 쓰는 데서 유래. 일종의 파자(破字)의 의미.

80세
산수(傘壽) : 산(傘)자의 약자(略字)가 팔(八)을 위에 쓰고 십(十)을 밑에 쓰는 것에서 유래.

81세
반수(半壽) : 반(半)자를 파자(破字)하면 "八十一"이 되는 데서 유래
망구(望九) : 구십살을 바라 본다는 의미. 81세에서 90세까지를 기원하는 장수(長壽)의 의미를 내포함.
* '할망구'로의 변천

88세
미수(米壽) : 미(米)자를 파자(破字)하면 "八十八"이 되는 데서 유래.
혹은 농부가 모를 심어 추수를 할 때까지 88번의 손질이 필요하다는 데서 유래.

90세
졸수(卒壽) : 졸(卒)의 속자(俗字)가 아홉 구(九)자 밑에 열 십(十)자로 사용하는 데서 유래
동리(凍梨) : 언(凍) 배(梨)의 뜻. 90세가 되면 얼굴에 반점이 생겨 언 배 껍질 같다는 데서 유래.

91세
망백(望百) : 백살을 바라 본다는 의미. 역시 장수(長壽)의 축복,기원

99세
백수(白壽) : 백(百)에서 일(一)을 빼면 백(白)자가 되므로 99세를 나타냄. 파자(破字)의 뜻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