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
동양화 읽은법

金浩 2009. 8. 19. 19:47

東洋畵 읽는 法

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동양화는 보는 그림보다 읽는 그림이다

  

     1, 山水畵

     2, 花鳥圖

     3, 器皿折枝圖--접시, 병등 그릇과 꺾어 놓은 꽃가지 그림

     4, 草蟲圖 풀과 벌레그림

     

 #   동양화를 읽는 방법

        1, 그려진 사물 이름을 同音異字의 문구로 바꾸어 읽는 방법

        2, 그려진 사물이 갖고있는 寓話的意味를 그대로 읽는 방법

        3, 그려진 사물과 관련된 古典的 文句를 상기하여 읽는 방법   

 

 * 모란은 대개 목련꽃과 해당화를 곁들어 그리거나 모란, 고양이 나 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비등을 곁들어 그리면 富貴모질로 오래도록 장수하고 부귀를 누리

   라는 뜻이지만 모란과 나비 두 가지만은 안 그리고 바위와 같이

   그리면 大富貴亦壽考, 모란과 甁을 같이 그리면 富貴平安의 그림

   이고, 모란꽃 위에 白頭鳥를 그리면 富貴白頭圖가 되어 白髮 때까지

   富貴하라는 것이며 이때 白頭鳥는 한쌍으로 그리고 부부가 해로하라

   는 뜻이 된다  

 * 닭 그림은 항상 주재가 장 닭이고 모란과 같이 그리면 富貴功名圖

 * 메추리는  대개 수선화나 조 밭에 앉아 있는 그림 많음

       두 마리를 그려도 암놈이 두 마리이고 조 이삭도 두 개를 그림

 * 오리는 버드나무 아래의 그림이 많고 두 마리를 그린다 과거의 향 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시와 전시 모두 장원을 비는 뜻이고 버들은 柳→留로 본다

 * 백로는 한 마리를 그린다

 * 신선도는 대개 8신선을 그린다 이철괴(李鐵拐;수나라 사람) 장과로 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(張果老)흰 수염, 당 현종때) 여동빈(呂洞賓 宋나라) 韓湘子(

         당나라 목종시) 何仙姑(여자신선, 당나라 측천무후시), 鐘離(

         송나라사람), 曹國舅(광헌태후의 동생), 藍采和(恒常童顔 당말기)     

 * 해오라기(白鷺)는 반드시 시든 연(蓮)밭에 그린다. 一路連科라는 말 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로 연속 登科를 기원함, 백로는 한 마리만 그린다

 * 게(蟹)는 갈대와 함께 그린다. 대개 게의 다리를 갈대로 묶는 경우

          가 많다. 傳蘆 →傳려(장원급제자에게 내리는 음식)이고 게가

          두 마리면 二甲傳려로 두 번의 과거를 합격하여 알선급제 하

          라는 뜻이고 김홍도의 海龍王處也橫行라는 글귀가 있다  

 * 장 닭이 우는 그림은 功名圖이다

 * 鵲虎圖(까치와 호랑이 그림)는 호랑이가 표범(豹)으로 그리는 것이

         바른 그림이고 新年喜報의 뜻이 있다. 이때 소나무(新年)가

         있어야 한다  

 * 흰사슴은 白鹿→百祿으로 읽고 사슴백마리 百鹿도 百祿이 된다

        향나무(柏)를 함께 그려 온갖 복록을 나타낸다

* 壽字를 16개를 쓰면 十六개의 壽가 거꾸로 壽六十,회갑을 나타낸다

* 竹石圖  바위와 함께 있는 대나무 그림은 회갑수를 나타낸다

           대나무가 60년만에 꽃피우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

* 동양화에 竹筍을 그렸으면 손자 본 것을 축하함의 뜻이 있다

* 난초중에 잎이 좀 꾸불거리고 길며 꽃이 보라색인 蓀이라는 난초는

           자손을 뜻하며 함께 귀뚜라미를 그려 넣었다면 한자로

           귁兒→官衙로 자손이 벼슬함을 말한다

* 박쥐는 문갑이나 도자기에 새겨져 있는데 복→福으로 福을 나타낸다 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박쥐무늬를 쓸 때에는 반드시 5마리를 넣는다 五복→五福이 된다

* 蘆雁圖--갈대와 기러기를 그린 그림 蘆雁→老安이라 읽고 달(月)이

          포함되었으면 老安樂으로 읽는다

* 고양이 그림은 70세 생일 축하하는 것이고 함께 참새를그린 경우가

         많다. 참새(雀)과 까치(鵲)의 讀音이 같기 때문이며 중국그림

         은 참새를 노란색으로 함 (黃雀→歡과 음이 비슷하기 때문이

         다)  猫→모(70세 노인),기타 고양이와 나비(蝶→질(80살)),

         고양이와 국화를 함께 그리면 菊花(귀거래사의 도연명의 古事에  

        서 隱遁者)뜻으로 유유자적 은둔해 살면서 고희를 맞다의 뜻

         이 되고 바위와 고양이를 함께 그려도 모壽가 된다

 * 부엉이그림도 古稀를 축하 猫頭鷹이라하여 고양이 머리를 닮아

         고희를 축하하는 내용

 * 목련꽃이 바위와 같이 그려지면 반드시 장수하리라(必得其壽)라는

          뜻  木蓮→木筆花→必과 壽 + 바위( 壽)

 * 쏘가리를 오리와 함께 그리면 쏘가리(궐→闕로 벼슬하다)이고 낚시

         에 꿴 상태는 꼭 잡아놓다라는 뜻이고 오리는 鴨→일등(甲)

        장원급제가 된다. 쏘가리를 두 마리 그리면 대궐이 두 개로

        모반죄가 된다

 * 부부간의 금슬은 원앙이 아니라 날개가 한쪽밖에 없는 比翼鳥이다

 * 連生貴子圖--원앙새가 연못에서 노니는 그림 鴛鴦은 貴子를 뜻함  

         連꽃이나 연 열매와 매취되면 貴子蓮生 즉 蓮生貴子가 된다

 * 多子圖--백명의 어린아이나 석류를 그려 나타냈다. 포도나

          박, 또는 호리병박을 그리대 넝쿨채 그렸다 또한 호리병박과

          장닭을 함께 그리면 功名萬代를 나타낸다

  * 소나무, 대나무, 백두조 한쌍을 그리면 頌祝白頭가 된다

  * 매화에 모란꽃을 함께 그리면 富貴眉壽로 늙도록 부귀하라는 뜻

           이 되고  매화 꽃 위에 달이 그려져 있으면 眉壽相樂으로

         장수한 위에 즐거움까지 떠나지 않는다는 뜻이고 매화꽃 가

          지에 까치가 앉아 있으면 喜報先春으로 봄을 맞아 맨 먼저

           기쁜 소식 전하다라는 뜻

 * 鶴 --학을 한 마리만 그리면 千壽圖로 장수를 나타내고 학이 소나

          무가지에 있으면 鶴壽松齡圖가 되어 또한 長壽를 말하고 파도

          치는 바닷가에 있으면 一品當朝로 벼슬이 일품에 오르다라는  뜻

 * 소나무 --年末年始에두드러진 존재로 정월을 뜻하고 소나무와 불노

          초를 함께 그리면 新年如意로 年賀 人事用 그림이다

* 새우(鰕)를 그리면 뜻같이 순조롭다 뜻이다  바다새우는 부부해로를

          나타낸다

* 器皿折枝圖--구리그릇→平安, 佛手柑→福, 백합꽃뿌리→百, 모란꽃→

          富貴, 不老草→如意, 땅콩→長生, 귤(橘)→大吉, 壽石→壽,

         국화꽃→유유자적한 생활, 대추, 밤→손자 일찍 봄, 장미→靑

         春, 색비름(雁來紅)→불로장춘(붉게그림), 天桃→젊음→푸르게

          그림이고 복숭아가 많이 달려있는 그림은 多壽圖가 되고 여

          러 명의 신선이 그려진 그림도 群仙供壽圖라 한다

*孝를 나타낼때는 孟宗竹이나 八哥鳥, 발발조,또는 寒皐라하는 까마귀

         를 그렸으며 팔가조에 목련꽃, 해당화를 함께 그렸으면 玉堂

         啼鳥 즉 모범적인 가정을 뜻한다

* 금붕어그림은 금붕어를 여러 마리 그려야 하며 金魚滿堂또는 金玉滿

         堂으로 읽고 부자가 되라는 뜻이다

* 연꽃그림은 근검절약의 생활에 힘쓰라는 뜻 本固枝榮의 蓮의 生態에

         서 연유, 연뿌리를 그린 것은 형제의 정을 나타낸다

* 국화그림은 隱遁과 隱逸, 壽를 뜻하기도 한다 국화꽃을 층층이 그리

         면 高壽를 말하고 바위 위에 얹어 있으면 益壽가 된다. 구기

         자와 함께 그리면 杞菊延年으로장수의 의미이고 또한 바위와

         나비와 원추리가 함께 그리면 원추리는 宜男, 바위와 나비는

         익수를 나타내므로 宜男益壽가 된다.

*琵琶--四時之氣의 상서로운 나무로 난초와 함께 그리면 四時淸香을

         나타낸다

* 닭과 맨드라미는 반드시 상하로 배치하여야 하며 관리로써 성공을

          의미함

* 萍鄕구學圖--피라미 세 마리와 와 마름풀 밑에 용트림하는 잉어 한

         마리와 여뀌를 그려 놓은 것은 어릴때를 나타내는 피라미와

         타향살이를 뜻하는 마름풀과 기운찬 잉어처럼 성공하다는 뜻

         인데 어떻게 성공했는지를 알리는 것이 여뀌이다 여뀌는 蓼인

         데 了자와 동음으로 학업을 마친다는 뜻이다

*잉어를 두 마리 그림은 타향살이 고생에도 불구하고 학문에 힘써 학

         업을 마치고 소과, 대과에 두루 합격하여 등용되기를 기원하

         는 그림이다

* 歲寒三友圖--소나무, 대나무, 매화를 함께 그린 것으로 논어의 계씨

         편의 글귀로 바람직한 친구교제를 가르치는 말 때로는 松竹梅

         에 바위까지 그려서도 삼우도라 한다

* 梅蘭菊竹을 그리거나 사계절 꽃들을 함께 그려 꽃의 향기를 표현했

          는데 꽃의 향기를 군자의 인품으로 나타냈다

* 濯足圖--발닦는 그림인데 滄浪之水淸兮 可以濯我纓 滄浪之水 濁兮

          可以濯我足(孟子(離婁)관련된 것으로 모든 일은 자기가 처신하

           기 달렸다는 뜻

* 翼蟬冠--관에 붙은 매미날개는 五德(文. 淸. 廉. 儉. 信)잊지말라는

          뜻으로 디자인 한 것임

* 三餘圖--종류미상의 물고기 세 마리 그려 놓은 것인데 그 뜻은 王肅

         傳에 나오는 董遇의 고사내용으로 冬者歲之餘, 夜日之餘, 陰雨

         時之餘라 가르친데서 유래하였다

* 물고기 9마리를 그리면 九如圖 축송의 뜻이 있다

* 메추리 9마리를 그리면 九世安居圖로서 메추리는 전부 암컷을 그리

          고 내용은 대가족의 화목을 말한다

* 아홉 마리의 해오라지(白鷺)를 그린그림은 九思圖라 하고 九思란

         군자가 사물을 대할 때 생각하는 아홉가지 일을 말한다

* 松下問童子圖--당나라 賈島의 유명한시의 전경을 그림으로 표현한것

         松下問童子 言師採藥去 只在此山中 雲深不知處

* 渭水釣魚圖--위수에서 노인이 낚시하는 장면을 그린 그림으로 주나

          라 문왕의 스승으로 주나라 초기의 기틀을 다질 때 여씨에서

          강씨로 성을 바꾸어 강상이 되었으며 주위사람이 태공망이라

          붙여준 것임

* 富春山圖--엄광과 광무제의 얽힌 교훈적 의미를 되새기며 그린 것이

         고 보는 사람도 이 뜻을 기리는 마음으로 대하였다

*梅妻鶴子-- 北宋때항주 서호변에 살았던 林和靖이 매화를 처로 삼고

        학을 아들로 삼았다는 고사로 매화와 학을 함께 그리는 풍습

         이 생겼다

* 山水 人物圖빼어난 일 여덟 가지를 모아서 그림으로 그린 것을 八逸  

          圖라 하고 八逸이란 ㉮穎川洗耳 ㉯桐江垂釣 ㉰ 商山圍碁

          ㉱江東掛帆 ㉲栗里倚松 ㉳臨해指鴻 ㉴ 廬山望瀑 ㉵패橋騎驢

   ㉮穎川洗耳--許由가 영천에서 귀를 씻는 장면으로 허유는 요임금이

          그에게 임금자리를 물려주려고 하였으나 箕山에 숨었으며 다

          시 九州의 장으로 삼으려하자 더러운 말을 들었다며 영천에

          가서 귀를 씻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그림

   ㉯ 桐江垂釣       

   ㉰ 商山圍碁--상산에 네명의 노인이 바둑두는 장면을 그린 것으로

         진나라때 섬서성 상산에서 난을 피하여 바둑으로 소일하는데

         商山四皓라 하며 이름이 東園公, 夏黃公, 록(녹)里先生, 綺里

         季로써 漢高祖(劉邦)초빙하였으나 응하지 않음

  ㉱ 江東掛帆--진나라때 강동(양자강하류)출신인 張翰이 그동안 섬

         기던 齊王의 그릇이 크지 못함을 보고 낙향해 버린 고사에서

         유래된 그림   

  ㉲ 栗里倚松--陶淵明이 현령자리를 내놓고 집(률리)에 돌아와유유

         자적으로 살았다는 고사에서 유래

  ㉳ 臨해指鴻圖--임해는 곽우의 고향이며 오호십육국중 전량의 임금

         을 죽이고 왕에 올랐던 장천석이 곽우를 불렀으나 하늘을 나

         르는 기러기를 가리키며 저새를 어떻게 가둘수 있느냐 하고

         숨었다는 고사에서 유래

  ㉴ 廬山望瀑--폭포를 바라보는 그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재로 중

         국의 강서성 구강현 남쪽에 있는 명산으로 경치가 다양하고

         좋았음

  ㉵ 패橋騎驢--눈나리는 날 나귀타고 다리 위를 건느는 모습을 그린

         그림으로 패교는 중국 성서성 장안의 동쪽을 흐르는 패수이

          며 당나라의 정승이며 시인인 鄭계의 고사에서 나왔음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 湘碧 編輯-